![]() |
가을 단풍이 절정으로 치닫는 충주호의 물길을 따라 유람선이 미끄러지는 모습을 제비봉의 계단길에서 내려다봤다. 유람선을 타고 보는 충주호의 가을 풍경도 빼어나긴 하지만 이쪽 자락의 제비봉이나 호수 건너편으로 보이는 말목산에 올라서 바라보는 경관에는 미치지 못한다. |
설악산 대청봉에 첫 눈. 몇 번의 찬비 뒤에 계절의 걸음이 더 빨라졌습니다. 좀 더 머물렀으면 좋으련만, 더불어 남하하는 단풍의 속도에는 가속도가 붙었습니다. 이제 단풍은 중부지방을 넘어 남도를 향해 맹렬하게 내려가고 있습니다. 서두르셔야 하겠습니다. 이번 주말이 중부 내륙 쪽에서는 절정의 단풍시즌을 즐길 수 있는 마지막 시간이 될 듯하니 말입니다.
단풍이 불붙은 이즈음은 어디든 아름답지 않겠습니까. 가을철 여행이라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울긋불긋 화려한 단풍으로 물든 장쾌한 산자락과 불붙은 단풍으로 포위되다시피한 고즈넉한 산사의 매혹적인 풍경입니다. 이름난 명산들이 가을이면 단풍놀이 행락객들로 넘쳐나는 것도 그 때문이겠지요. 하지만 단풍의 절정 무렵에 이름난 명산을 찾았다가는 앞사람의 뒤통수만 보고 산에 오르기 십상이고, 정작 단풍보다는 울긋불긋 등산복만 보다가 돌아올 수도 있습니다. 한꺼번에 몰려든 행락 차량들로 짜증나는 교통 체증을 견뎌야 하는 것은 말할 것도 없지요.
몇 해 동안 단풍의 행로를 쫓았던 경험으로 미뤄본다면, 단풍이 가장 아름다운 것은 ‘물’과 함께 있을 때입니다. 이름난 산이 보여주는 단풍의 색감도 빼어나긴 하지만, 고요한 호숫가의 단풍 색감이나 자태만큼 매혹적이지 않았습니다. 가을의 호수는 인파들로 북새통을 이루는 명산들보다 훨씬 더 고즈넉한 데다 걸음을 멈추고, 혹은 차를 세우고 호반의 풍경을 오래도록 가슴에 담을 수 있습니다. 절정의 단풍을 만날 수 있는 때를 겨눠서 충주호를 찾아간 것은 그 때문이었습니다.
충주호의 호안은 지금 온통 물감을 짜놓은 팔레트처럼 붉고 노랗게 물들어가고 있습니다. 호수의 단풍. 그 화려한 자태와 정취를 ‘완벽하게’ 만날 수 있는 곳을 찾아나섰다가 세 곳을 찾아냈습니다. 충주호를 끼고 있는 두 개의 산과 하나의 길입니다. 충주호를 가운데 두고 서로 마주보고 서있는 말목산과 제비봉, 그리고 충주호를 감아도는 비포장 드라이브 코스까지, 단풍으로 물든 기막힌 호수를 굽어보는 세 곳의 자리를 살짝 공개합니다. 이 세 곳을 찾아가는 행로를 따라오며 주의할 점은 단 한 가지. 늦어도 이번 주말은 넘기지 않아야 한다는 것뿐입니다.
![]() |
포장도로와 비포장길이 교대로 이어지는 충주호 호안도로. 울긋불긋 물든 붉고 노란 단풍이 수면에 비치는 만추의 풍경을 바라보면서 달리는 길이다. |
![]() |
# 말목산 빼어난 풍광에 발목을 잡히다
충주호를 끼고 솟은 말목산. 월악산국립공원의 동북쪽 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산이지만, 말목산을 아는 이들은 거의 없다. 하지만 충주호의 유람선을 타 봤다면 혹 이 산의 자태를 기억하고 있을지 모르겠다. 충주호 유람선이 뜨는 장회나루에서 충주호 건너편으로 긴 능선을 벼랑을 드러내며 우뚝 솟아있는 산이 바로 말목산이니 말이다.
말목산은 행락객들은 물론이거니와 이른바 ‘산꾼’들의 발길도 드물지만, 가을 충주호의 단풍을 조망하는 명소 중 가장 앞자리에 당당히 놓을 만하다. 그만큼 말목산 능선에서 바라다보이는 단풍이 물든 충주호 전망은 빼어나다. 능선을 따라가다 만나는 몇 곳의 아슬아슬하게 깎아지른 벼랑의 조망지점에 서면, 산자락의 한쪽 사면에 융단 같은 숲의 울긋불긋한 단풍과 함께 그 아래로 호수의 풍경이 한눈에 들어온다. 햇살에 반짝이는 물결을 그으며 호수 위를 유람선이 오가면 그대로 한 폭의 그림과 다름없다.
말목산의 해발 고도는 720m. 높지 않은 산이지만 오르는 길은 그리 녹록지는 않다. 국립공원 지역임에도 탐방로가 놓이지 않아 길은 ‘딱 잃지 않을 정도’로 흐리다. 산행은 단양군 단장면 하진리 마을에서 시작한다. 산행 내내 표지판이라고는 ‘말목산 등산로입구’와 정상석에 새겨진 ‘말목산’ 딱 두 개뿐. 가쁜 숨을 몰아쉬며 급경사면을 차고 올라야 하는 구간도 제법 길다.
하진리 마을 앞의 등산로 표지판에 그려진 시간대로라면 말목산 정상까지는 2시간 안쪽이면 닿는다. 하지만 일순 하늘이 툭 터지는 돌너덜 구간이나, 깎아지른 벼랑 지형에서 바라다보이는 조망 앞에서 좀처럼 속도를 낼 수 없다. 턱까지 닿는 가쁜 숨이나 뻐근한 허벅지가 아닌, ‘빼어난 경관’이 도무지 발목을 붙들고 속도를 낼 수 없게 만든다는 얘기다.
말목산의 능선의 조망지점에서 내려다보는 충주호는 호수라기보다는 말목산과 맞은편 제비봉 사이로 흐르는 물길처럼 보인다. 지금 말목산의 가파른 능선에도, 물 건너편에 마주 선 제비봉 사면에도 온통 울긋불긋한 단풍이 카펫처럼 펼쳐져 있다. 제비봉의 허리춤에는 길고 가늘게 36번 국도가 지나가고, 그 길이 닿는 장회나루에는 수면에 비친 단풍색의 물길을 따라 유람선이 들고 난다. 다른 산에서는 흔히 볼 수 없는 이런 풍경이야말로 말목산이 만추 무렵에 선사하는 가장 아름다운 풍경이다.
![]() |
말목산 정상 부근의 벼랑에서 내려다본 충주호의 모습. 산 능선에 단풍의 물결이 융단처럼 펼쳐졌다. |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