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주남저수지의 수면을 뒤덮은 고방오리떼 사이로 큰고니가 유유히 떠가고 있다. 주남지의 큰고니들은 사람들을 그다지 경계하지 않아 물억새를 심어놓은 탐조대 방죽에서 맨눈으로도 쉽게 관찰할 수 있다. |
고니. 흔히 ‘백조’라고 하지요. 겨울 철새 중 ‘기품’에 대해 말하자면 단연 고니입니다. 커다란 체구부터가 그렇고, 순백의 몸 색깔도 그렇거니와 우아하게 물 위를 미끄러지는 모습도 그렇습니다. 수면을 차고 달리다가 큰 날개를 펴고 이륙하는 모습이나 목을 길게 빼고 폭격기 편대처럼 무리 지어 나는 모습에서도 당당한 기품이 느껴집니다.
경남 창원의 주남저수지에는 이번 겨울 750마리쯤의 고니가 찾아왔습니다. 청둥오리와 청머리 쇠오리, 고방오리 등 주남지를 찾은 80여 종의 다른 겨울 철새까지 더하면 대략 1만 마리쯤이랍니다. 겨울이면 줄잡아 수십 만 마리의 철새가 찾아온다는 천수만이나 금강하구언에다 대면 명함도 못내밀 정도라지만, 그럼에도 주남지를 찾아가는 건 거기서 고니를 만나는 감동이 다른 곳보다 몇 배는 더하기 때문입니다.
주남지의 고니들은 방죽 가까운 수면 위에서 깃을 치며 우아한 자태를 뽐내기도 했고, 저수지 너머 무논에 일제히 내려앉아 탐조에 나선 아이들과 가까이서 눈을 맞추기도 했습니다.
주남지가 있는 창원. 고만고만한 지방의 중소도시쯤으로 생각했다면 오산입니다. 지난 2010년 7월 창원과 마산, 진해시가 합쳐져 이뤄진 창원시는 말 그대로 ‘거대도시’입니다.
창원을 보겠다면 고층빌딩 즐비한 창원의 도시 풍경과 가곡 ‘가고파’에 등장하는 마산의 호수 같은 고향바다, 그리고 근대의 풍경을 고스란히 간직한 진해까지 다 돌아봐야 합니다. 진해야 벚꽃 필 때를 겨냥해 아껴둔다 해도 나머지 것만으로도 하루 일정으로 어림도 없습니다.
# 주남지의 호수위로 고니떼들이 날다
![]() |
폐허가 된 백월산 자락의 백월사. 신라시대 석등이 처마를 받치고 있다. |
붉은 겨울 햇살이 퍼져가자, 사방에서 철새들이 수런거리기 시작했다. 훗훗훗…, 과안 과안…. 고니들도 하나 둘 머리를 빼들고 수런거리기 시작했다. 몇 마리의 고니가 얼어붙은 무논을 박차고 날아오르는 걸 시작으로 뒤이어 고니들의 비행이 시작됐다. 붉은 햇살이 번져가는 하늘 위로 목을 길게 뺀 고니들이 마치 일사불란한 대열을 이룬 전폭기처럼 날아오르다가 물보라를 일으키며 수면 위로 착륙했다.
창원의 주남저수지는 낙동강의 범람을 받아주던 배후습지에 1920년대 둑을 쌓고 준설을 해서 만들어졌다. 주남지는 주남저수지 한 곳을 일컫는 이름이기도 하고, 인근의 산남, 주남, 동판 등 3곳의 저수지를 한데 묶어서 이르는 이름이기도 하다.
주남지는 197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아무도 관심을 갖지 않는 거대한 저수지였다. 그때만 해도 ‘주남’이란 이름조차 없었다. 마을 이름을 따 산남늪, 용산늪, 가월늪이라고 불렀고, 더러는 그냥 강이라고 불렀다. 그러던 것이 1970년대 후반부터 가창오리를 비롯한 수많은 철새들이 날아오면서 비로소 이름을 얻게 됐다.
주남지에는 겨울이면 고니, 재두루미, 고방오리, 청둥오리, 청머리오리 등의 철새들이 날아와 한 철을 보낸다. 저수지의 수면 위는 물론이고 방죽 너머 가을걷이가 끝난 들판도 온통 철새들로 수런거린다. 예년에는 가창오리와 기러기가 많이 날아들었다는데, 올해는 가창오리나 기러기 대신 청둥오리와 ‘백조’라고 불리는 고니들이 많이 날아왔다. 기러기와 가창오리들이 그해 겨울이 추우면 남쪽으로 더 내려가는데 겨울 추위가 유독 매서운 올해는 해남의 고천암호 일대에서 겨울을 나는 모양이었다.
올 겨울 주남지에 날아든 고니는 열 마리 중 일곱 마리쯤이 이름 그대로 몸집이 큰 ‘큰고니’ 들이었다. 주남지의 고니들은 겁이 없다. 고니들은 아예 사람의 발이 닿지 않는 저수지 복판쯤에 내려앉는 게 보통인데, 주남지의 고니들은 방죽 가까이에 몰려앉아 유유히 헤엄을 치고 있다. 심지어 도로 바로 옆의 무논에 수십 마리씩 내려앉아 웬만한 기척에도 날아가지 않고 고개를 빼들고 이쪽을 살핀다. 이렇듯 주남지의 철새들이 사람을 두려워하지 않는 것은 아마도 탐조대 부근의 무논에 매일 오후 2시 무렵 볍씨와 고구마를 먹이로 주고 있기 때문이리라. 먹이를 주는 시간에 맞춰 주남지를 찾아간다면 탐조용 망원경 없이 맨눈으로도 고니의 기품 있는 자태를 감상할 수 있다.
철새탐조라면 가창오리 수만 마리가 일제히 날아올라 하늘을 가득 메우는 ‘장관’만을 생각하기 쉽지만, 그보다 고요한 겨울 저수지 수면 위를 오리떼와 고니들의 모습을 숨죽이고 감상하는 맛도 못지않다. 이렇듯 철새 한 마리, 한 마리의 움직임을 세심하게 관찰하는 게 감동이 오히려 더 크다는 것이다. 길들여지지 않은 살아있는 생명과 마주하는 감동은 상상했던 것 이상이다.
![]() |
문신미술관 언덕에서 내려다본 마산항 풍경. 마산만의 바다가 호수처럼 잔잔하다. |
No comments:
Post a Comment